건강정보&꿀팁

농산물 인증 마크 차이점

어부와 농부를 꿈꾸는 가비 2021. 5. 24. 01:52

여러분 안녕하세요!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상식과 함께 각종 유익한 정보들을 알려드리는 아쿠아포닉스 농부 가비네 농장 가비입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환경오염이 날로 지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소비와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최근 8년 사이 두배로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현명한 소비자라면 친환경 먹거리 하나라도 신중히 보고 고를 필요가 있습니다.

마트에서 장을 보다 보면, '친환경'을 상징하는 용어와 표시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어떤 제품을 선택하기 난감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친환경 식습관과 소비에 도움이 되는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농산물 인증마크 차이점 

설명하기에 앞서, '친환경'이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인체와 생태환경의 해로운 화학비료, 농약, 제초제등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에서 친환경 농산물이란, 환경을 보호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으로 사용하여 생산한 것을 말합니다.

즉, 친환경 농산물 인증마크란  건강한 토지 위에서 환경친화적인 농법으로 재배된 농산물을 나타내는 마크로 국립 농산물 품질 관리원에서 인증한 마크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관리 토양과 물, 생육과 수확 등 생산 및 출하단계에서 인증기준을 준수하였는지 엄격한 품질 검사와 사후관리를 통해 유통되므로 안심하고 먹어도 된답니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는, 재배방법과 과정에 따라 무농약 농산물, 전환기 유기농산물, 유기농산물로 구분됩니다.

01. 유기농 농산물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모두 재배과정에서 전환기(3년) 이상 사용하지 않는 농산물일 때 주어지는 인증입니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 종자를 사용하면 안 되는 것은 물론, 유기농산물 인증 기준에 맞게 생산되고 관리된 유기종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유기농은 최고의 환경이라도, 토경이 아니면  인증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수경재배 시 친환경 인증을 받으려면  무농약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2. 전환기 유기농산물 

무농약과 유기농 사이의 단계로, 1년 이상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된 농산물로  유기 농산물로 가기 위해서 전환되는 농산물입니다.

친환경 농업 육성법이 2011년 3월 9일 개정되면서 전환기 유기농산물은 삭제되었습니다.

​3. 무농약 농산물

무농약 농산물은 재배 과정에서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을 말합니다.

화학비료는 농촌 진흥청장 및 농업기술원장 또는 농업기술센터 소장의 권장량에 따라 1/3 이내로 최소화하여 사용하여 재배된 농산물입니다.

무농약 농산물의 ​인증을 받으려면, 경영, 재배, 관리 등의 구비요건을 갖추어 심사를 거쳐서 무농약 농산물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기농산물과 무농약 농산물 인증은 1년 동안만 인증이 유효하며, 1년마다 토양검사, 작물 검사, 서류검사, 영농일지 검사, 현장실사를 하여 통과하면 받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기농 농산물 :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모두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

전환기 유기농 농산물 : 1년이상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농산물로 가기위해 전환되는 농산물

무농약 농산물 :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화학 비료를 사용한 농산물


저희 가비네 농장은 최고의 수중 환경에서 농산물을 환경 친화적으로 관리하여 재배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더라도,  토경재배가 되지 않으면 유기농으로 인증되지 않아 아쿠아포닉스 농법에는 무농약 인증만 가능합니다.


이렇게, 각 농산물 인증마크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았습니다.

우리 모두 느리지만 각자만의 건강한 발걸음으로 가족의 건강과 소중한 환경 더 나아가 지구까지 지켜봅시다.

이상 가비네 꿀팁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